혼자 사는 1인 가구가 많아지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TV 대신 인터넷으로 드라마나 영화를 보는 시대가 됐습니다. 그런데 매달 꼬박꼬박 나가는 TV 수신료, 정말 필요할까요?
TV를 전혀 보지 않는데도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수신료가 아깝게 느껴진다면, 지금 바로 TV 수신료 해지 방법을 확인해보세요! 어렵지 않으니, 차근차근 따라오시면 됩니다.
TV 수신료, 왜 내고 있을까?
먼저 TV 수신료가 뭔지 간단히 짚고 넘어가볼게요.
TV 수신료는 공영방송인 KBS를 운영하기 위해 매월 전기요금 고지서에 포함되어 자동으로 부과되는 금액이에요.
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으로 유튜브나 OTT(넷플릭스, 디즈니+, 왓챠 등)를 이용하면서, 실제로 TV를 보지 않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죠.
TV 수신료, 이런 경우에 해지할 수 있어요!
TV 수신료는 TV가 없거나, TV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한해 해지가 가능합니다.
만약 집에 TV가 있지만 단순히 사용하지 않는다면, TV 수신료를 해지하려면 TV를 완전히 치우거나 기능을 정지해야 할 수 있어요.
다음은 수신료 해지가 가능한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1. 집에 TV가 없는 경우
2. TV를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이나 OTT만 이용하는 경우
3. 1인 가구로 TV를 보유하지 않은 경우
TV 수신료 해지 방법, 이렇게 하세요!
1. 한전 고객센터에 문의하기
TV 수신료는 한국전력(한전)에서 전기요금과 함께 부과되기 때문에, 해지 신청도 한전 고객센터를 통해 가능합니다.
1. 한전 고객센터(국번 없이 123)에 전화하기
• 상담원 연결 후, TV 수신료 해지를 요청하세요.
• TV를 보유하지 않거나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설명하면 됩니다.
2. 한전 홈페이지 또는 앱 이용
• 한전 공식 홈페이지(www.kepco.co.kr)나 스마트 한전 앱에서 로그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
• [민원 > 수신료 해지 신청] 메뉴를 찾아 내용을 작성하면 됩니다.
2. KBS에 직접 해지 신청하기
TV 수신료는 KBS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KBS에 직접 해지 신청을 할 수도 있습니다.
1. KBS 수신료 콜센터(1588-1801) 전화
• 상담원에게 TV가 없거나 사용하지 않는 상황을 설명하세요.
2. KBS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KBS 수신료 공식 홈페이지(https://lic.kbs.co.kr)에 접속해 해지 신청서를 제출하면 됩니다.
3. 방문 확인이 필요한 경우
간혹 TV가 없음을 증명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한전 또는 KBS에서 담당자가 방문하여 TV 보유 여부를 확인합니다.
이 절차가 번거로울 수 있지만, 확실하게 해지하려면 필요하니 참고하세요!
TV 수신료 해지 시 주의사항
1. 해지 후에도 일정 기간 수신료가 부과될 수 있음
신청 후 바로 처리되지 않을 수 있으니, 다음 달 요금까지 확인하세요.
2. 다시 TV를 사용하게 되면 수신료 재부과
해지 후 다시 TV를 설치하거나 사용할 경우, TV 수신료가 다시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법적으로 TV를 보유한 경우 수신료 납부는 의무
TV가 있음에도 해지 신청을 했다가 문제가 될 수 있으니,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매달 나가는 불필요한 지출, 이제 줄여보세요!
1인 가구가 늘어나고, 많은 사람들이 TV 대신 인터넷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즐기는 요즘.
TV를 보지 않는데도 매달 2,500원의 수신료가 나간다면 아깝게 느껴질 수밖에 없죠.
오늘 소개해드린 방법으로 필요하지 않은 TV 수신료를 해지하고, 그 돈으로 나만의 즐거움을 위한 작은 투자에 써보는 건 어떨까요?
“불필요한 지출은 줄이고, 나를 위한 가치는 더하는 것!”
지금 바로 실천해보세요!